우리의 명절 설과 추석
한국인의 전통 명절 하면 일년에 두 번있는 설날과 추석을 들 수 있는데요, 점차 가족의 규모가 작아지는 요즘엔 명절 때 마다 조상님께 제사를 올리는 풍경도 이제는 찾아 보기 쉽지 않은 전통인듯 합니다. 때문에 결혼을 우리가 결혼을 하고, 부부의 가족 문화에 따라 때로는 익숙지 않은 이 제사를 올리기 위해 명절 때마다 제사 상차림을 찾아보게 되는데요, 오늘은 한국인의 제사 상차림과 제사 음식, 그리고 명절 문화에 대한 글을 써 보겠습니다.
한국인의 제사 유래와 의미
사실 명절에 지내는 차례와 일반적인 제사는 그 이름이 다른 만큼 식순과 실제 방식도 다른데요, 명절에 올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별칭하는 이유는 명절 제사는 일반적인 제사에 비해 많이 생략하여 간소화 한 예식이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일반가정에서 기제사와 같이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올리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많이 사라지고, 대부분의 가정에서 여성과 남성 모두 직장에 종사하는 비율이 많기 때문에 명절에만 모이는 경우가 많아 차례만을 지내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이것또한 본래는 명절날 조상이 묘지에서 드리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이렇게 성묘를 가서 올리는 제사를 약식으로 드리게 된 것입니다. 명절 아침에 가족들이 모여 집에서 간단히 제사를 올리며 절을 드리고, 아침이나 점심식사를 한 뒤에 모두 함께 조상의 묘지에 방문하여 여기에서는 간단히 과일과 명절음식인 송편, 떡국 등만 올리고 돌아로는 것이 전통적인 명절 제사, 차례인 것입니다. 일반적인 제사때에 술을 여러 번 올리는 것과 달리 차례를 지낼 때에는 한 번만 올리는 것도 제사와 차례의 차이입니다. 동일한 점은 차례와 일반적인 기제사 모두 절은 두 번 올리는 것입니다.
제사 상차림과 제사음식들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을 제수 라고 하는데요, 제사상에 오르는 음식은 가족의 문화, 종교, 그리고 지방색에 따라서 모두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제사상 음식은 홍동백서 라고 하여, 붉은 과일을 오른쪽에, 흰 과일을 왼쪽에 올리는 것을 예로 하고 있습니다. 주로 밥은 흰쌀밥을 준비하고, 국은 소고기 뭇국을 준비 하는 것이 보통이며, 술은 항상 맑은 색의 술을 준비해야 한다고 되어 있는데요, 이 또한 집안에 따라서는 막걸리를 준비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 밖의 반찬에는 원래 생선구이인 조기와 소불고기, 그리고 부침개류와 식혜, 맑은 김치 등을 준비 하는데 이 또한 조상님께서 원래 자주 드셨거나 좋아하시던 음식이 오르는 경우가 더러 있어 어떤 집에서는 소시지나 치킨도 올린다고 합니다. 제사음식에 간은 소금과 간장만으로 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따라서 조미료나 간마늘 등을 넣지 않고 음식을 슴슴하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사실 홍동백서는 제사 상에서 바라봤을 때의 기준이 아니라, 실제 집안에서 제사를 올리는 곳에서 동서 남북을 기준으로 하여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 음식을 올리는 데에도 홍동백서 외에, 어류는 동쪽에 고기류는 서쪽에 올린다는 의미의 어동육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에 두는 두동미서, 명태와 같은 포는 왼쪽 끝으로 두고, 시계는 오른쪽에 두는 좌포우혜, 대추, 밤, 배, 곶감의 순서로 왼쪽에서 부터 두는 조율이시 등의 차례상 차리는 방법 이 있으며, 상의 안쪽에서 부터 바깥쪽으로 열을 두어 맨 안쪽의 1열에 밥과 국을 시작으로 어동육서, 두동미서, 좌포우혜, 조율이시, 그리고 홍동백서 의 순으로 점점 절을 올리는 상 바깥쪽 열로 음식을 배치 하는 것이 본디 제사상 차리는 방법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월이 흘러 전통의 색이 많이 흐려지기도 하고, 종교의식이 차례나 제사를 대체 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기본으로 지키는 제사상 예의로는 고춧가루나 마늘이 들어간 음식이나 끝에 '치' 가 붙는 꽁치, 갈치 등의 어류, 그리고 과일 중 복숭아와 곡류중 붉은 팥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제사의 순서와 절 올리는 방법
제사를 지낼 때에 가족중 가장 어른이 되는 분께서 향을 피우는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때 이 분을 제사예절에서는 '제주'라고 부릅니다. 제사상을 차리고 나면 먼저 제주가 향을 피우고, 보통 제주의 아들이나 형제 되는 분께서 술을 따라 주시면 이 술을 세 번에 걸쳐 모삿그릇에 붓습니다. 보통의 가정에서 제사 지내는 풍경을 보셨다면 이러한 행위들을 큰 아버지와 아버지 또는 작은 아버지 들이 하시는 것을 본 기억이 더러 있으실 텐데요, 이렇게 기제사 경우에는 세 번에 걸처 술을 나눠 부운 뒤에는 제주가 두 번 절을 드리고, 이어 모든 가족들과 아이들이 뒤에서 두 번 절을 올립니다. 그러면 또 제주가 잔에 술을 받아 향 위로 세 번 원을 그리며 돌리고 이 잔이 상 위에 올려지면, 제주가 축문을 읊으시는데요, 이렇게 축문을 제주가 다 읽으신 뒤에 가족들이 두 번 절을 하면, 같은 과정을 제주의 형제 또는 자식 중 조상과의 친분이 있는 사람이 반복한 뒤 제사를 마치고, 조상이 제사음식을 드시도록 두는 것이 일반적인 제사의 순서와 양식입니다.
설, 추석 명절문화와 명절예절
명절은 이제 막 결혼식을 올린 신혼부부가 결혼식 이후 처음으로 양가 가족들을 모두 만나 뵙게 되는 행사 라고 볼 수도 있어서 신혼부부들이나 결혼 한 지 얼마 안된 부부들은 더러 긴장을 하게 되는 때 이기도 합니다. 특히 결혼식때 한복을 맞추셨다면 이 날은 그 한복을 꺼내어 부부가 함께 입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결혼 후의 첫 명절때에는 부부가 함께 맞춘 한복을 단정하게 차려 입고 양가 부모님께 인사를 드리는 것을 예의 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만, 한복이 번거롭다고 여기시는 문화의 가정에서는 더러 단정한 예복을 입고 양가 부모님과 어른들을 찾아 뵈면 좋다 라고 합니다. 그리고 가까운 사이인 가족일 수록 더욱 예를 갖추어야 그 관계가 더 길고 깊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어른들의 생각이기 때문에, 결혼 후에 부모님을 뵈러 가는 때에는 늘 작은 선물을 준비해 가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아주 간단하면서도 너무 기본적인 예이긴 하지만, 식사를 시작할 때에는 제일 연장자인 어른께서 수저를 든 후에야 식사를 시작하셔야 하며, 간단한 약주를 하게 된다면 기본적인 주도에 맞추어 잔은 오른손으로 들고 왼손은 잔 밑을 받추어 두 손으로 공손히 받으셔야 올바른 예절에 맞다고 합니다. 명절날의 선물로 가장 흔하게 들고 가는 것은 영양제 인데요, 특시 5-60대 어른들께 도움이 되는 오메가3 또는 코엔자임Q10등을 많이 가지고 간다고 합니다. 설과 추석 명절때 어르신들께 올리는 인사는 주로 큰 절을 드리는데요, 여성분들은 보통 원피스 정장 또는 한복치마를 입으시기 때문에 큰 절은 한쪽 무릎은 굽힌채 인사드리고, 남자분들은 일반적인 큰 절을 드리는 것이 보통입니다.